최저시급 확정! 얼마나 올랐을까? 최저임금 계산과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정리
최저시급 2026년도 2.9% 인상된 10,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자세한 배경과 계산기, Q&A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최저시급 10320원 최종 결정
2026년 적용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시급인 10,030원보다 290원(+2.9%) 인상된 금액입니다.
이 결정은 2025년 7월 10일, 최저임금위원회 제12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 위원과 한국노총 소속 근로자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합의로 이루어졌습니다.
적용 시점은 2026년 1월 1일부터로, 전국 모든 업종과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2.9% 상승 배경
이번 인상은 노동계와 사용자 측의 팽팽한 의견 차이 속에서 공익위원의 중재로 결정되었습니다.
- 노동계는 시급 11,500원(14.7% 인상)을 요구
- 경영계는 동결 수준인 10,030원을 주장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공익위원들은 심의촉진구간(10,210원~10,440원)을 제시했고, 결국 중간 지점인 10,320원으로 합의되었습니다.
민주노총 소속 위원들은 인상률이 낮다며 퇴장해 ‘반쪽 합의’라는 평가도 있었지만, 이는 2008년 이후 17년 만의 합의 결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인상률 2.9%는 최근 5년간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며, 이는 현 경제 상황과 자영업자의 부담을 고려한 현실적인 결정으로 풀이됩니다.
✅ 내 최저임금은 얼마? 최저시급 계산기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을 기준으로 주 40시간, 월 209시간 근무 시 월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주휴수당 포함 시
- 시급 × 209시간 = 10,320원 × 209 = 2,156,880원
✔ 주휴수당 미포함 시
- 시급 × 174시간 = 10,320원 × 174 = 1,796,000원
📌 2025년과 비교
- 2025년 시급: 10,030원
- 월급(209시간 기준): 10,030원 × 209 = 2,096,270원
- 2026년 인상 폭: 월 60,610원 ↑
월급이 인상되긴 했지만, 실질적인 체감은 업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적용 여부에 따라 월급이 달라지므로 본인 상황에 맞는 계산이 필요합니다.
✅ 자주 하는 질문
Q1. 2026년 최저시급은 최정 얼마로 확정된거에요?
A1. 10,320원입니다.
Q2.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2. 2026년 1월 1일부터입니다.
Q3. 주휴수당은 꼭 받아야 하나요?
A3.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경우 법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4. 알바생도 적용받을 수 있나요?
A4. 네, 고용형태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5. 업종별로 다른 시급이 적용되나요?
A5. 2026년은 업종 구분 없이 동일 시급이 적용됩니다.
Q6. 실습생도 적용받나요?
A6. 업종에 따라 실습 목적에 따라 다르며,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근무 시작 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Q7. 내년에도 주휴수당이 적용되나요?
A7. 네, 주휴수당 제도는 계속 유지됩니다.
Q8. 통상임금과는 다른 건가요?
A8. 네, 통상임금은 각종 수당이 포함된 개념입니다.
Q9. 퇴직금에도 적용되나요?
A9. 기본적으로 퇴직금 산정 시 통상임금 기준이 적용됩니다.
Q10. 시급 외에 수당이 있으면 시간당 급여보다 적게 줘도 되나요?
A10. 일부 수당은 포함 가능하지만, 최저임금법에 따라 대부분의 급여는 최저시급을 넘거야 합니다.
✅ 마무리
2026년 최저시급은 2.9% 오른 10,320원으로 확정되어 월 215만6880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상률은 낮지만, 경제 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본인의 근무시간과 주휴수당 적용 여부를 정확히 파악해 급여를 계산해보시고, 불이익 없이 권리를 누리시길 바랍니다.
2025.07.08 - [분류 전체보기] - 자격증취득장려금 신청 방법
자격증취득장려금 신청 방법
자격증취득장려금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구직자, 직무 능력 향상을 원하는 근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부지원 제도입니다. 자격증 취득 후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장려금을 현금으
spleevery.healthmoney.kr
2025.07.08 - [분류 전체보기] - 평생교육이용권사용처 확인
평생교육이용권사용처 확인
평생교육이용권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서울시에서 경제적 여건이나 접근성의 제약으로 평생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한 제도로써 현재 2차 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많은 분들의
spleevery.healthmoney.kr
2025.07.10 - [분류 전체보기] -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국내외 BEST5